떡상 위의 진설병, 향유병

 

 

20201002

출애굽기 25장 23~30

떡상

송태근목사

 

떡상 = 진설상

진설 : 펼쳐놓다

 

●떡상

조각목(=아카시아) : 이스라엘에서 흔한 나무

금으로 싸야 됨

→볼품없는 우리를 보배되신 그리스도께서 보배 되게 하심

 

길이 2규빗, 너비 1규빗, 높이는 1.5규빗

(1규빗=약 45cm)

성소 안의 물건들 중 언약궤와 함께 가장 낮음

→허리를 굽혀서 섬길 수 밖에 없다.

 

※성소의 3가지 특징 : 창문없음, 의자없음, 바닥이 흙바닥임.

 

손바닥넓이만한 턱(=난간, 틀) : 떡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

 

네 다리 위 모퉁이에 고리를 달아 상을 멜 채를 꿰게 함 : 사람의 손이 닿지 않게 하기 위해

 

●진설떡

양쪽에 6개씩 놓음. 합이 12개.

안식일마다 교체.

레24:9 아론과 그의 자손(제사장들)이 먹어야 함.

→오늘날의 제사장은 그리스도인들 (벧전)

 

<이 떡은 무엇인가>

*요1:14 말씀이 육신이 되어

요6:48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라

요6:50 하늘에서 내려오는 떡

하나님의 백성들을 위해 생명의 떡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것

*레24:5 고운 가루로 떡 12개를 굽되 각 덩이를 2/10에바로...

밀의 껍질을 벗기고 으깨어 부서뜨려야 고운 가루가 됨.

→그리스도가 환난과 고통의 시간을 통과해야 함을 나타낸 것.

 

30절 항상 내 앞에 있게 하라

→하나님의 말씀이자 예수 그리스도는 시간과 상황에 따라 뒤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

언제 어떤 상황 무엇을 하든 항상 하나님의 말씀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.

하나님의 말씀만이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.

※하나님의 말씀 = 예수 그리스도, 요1:14 / 성경, 딤후3:15-17 / 설교, 살전2:13

 

반드시 기름으로 반죽해야 함

→말씀은 성령으로 기름부으심, 성령의 감동으로 되어지는 것 

 

고전5:7 누룩없는 떡

제사장들이 안식일에 새 떡을 올리고 내린 떡을 먹음

→가운데 향유병 : 그 말씀을 통해 성도들이 살아낸 삶의 모습은 향기와 같이 드러남을 의미.

 

 

 

728x90
posted by Eline
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