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종말론사무소 윤재덕소장님의 강의를 글로 옮긴 것입니다.
강의영상 보기


[7:1,9]'이 일 후에’는 실상의 순서가 아니라 요한이 보고 있는 환상의 순서이다.

(1) 네 천사, 네 모퉁이, 사방의 바람
┗'4'가 여러번 등장 : 4는 땅 전체를 의미 (계5장 참고)

(1)땅의 사방의 바람: 바람은 6장에 나온 네 말들.
┗[스가랴6:5-7 개역한글]에 익숙한 유대인들에게 네 말은 바람이다.

(1)사람들이 6장의 네 말들(=사방의 바람) 때문에 힘들어할때 천사들이 땅의 네 모퉁이에 서서 이 바람들을 억제한다.
┗네 말이 의미하는 것은 ‘정복, 전쟁, 기근, 죽음’ 이었다.
┗즉 땅 위의 정복, 전쟁, 기근 죽음이 영향을 끼치지 못 하게 하라

(2)또 다른 천사: 다섯째 천사
┗인 뗄 때 네 말이 있고, 이 네 말에 네 천사가 대응된다.
┗그리고 다섯째 인을 뗐을 때 순교자들이 등장했고, 다섯째 천사가 등장했다.
→일곱 인과 계7장에 나오는 천사들과는 그 숫자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.

(3)이마에 인치기
[에스겔9:4-6새번역]...이마에 표를 그려 놓아라.
공동체에서 일어나는 죄에 대해 슬퍼하는 사람들의 이마에 인을 치는 내용이 이미 에스겔서에 등장하고 있다.

(4-8)이스라엘 자손의 각 지파 중에서 인 맞은 자들이 십사만사천이니... (각 지파별 만이천명씩)
┗[민수기1:19-46]의 각 지파별 인구조사 장면과 유사하다. (20세이상 군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람들만 센 것)
┗┗민수기와 요한계시록 인구조사의 공통점: 각 지파의 숫자를 계수했다는 점,
┗┗차이점은 ①민수기에서는 장남인 르우벤지파를 맨앞에, 요한계시록에서는 예수님이 나신 유다 지파가 맨앞에 있다. ②민수기는 지파마다 다 다른 실제적인 인구수이고, 요한계시록은 모든 지파가 일만이천으로 똑같은 상징적인 숫자이다. ③민수기는 레위지파가 없으나 요한계시록은 레위지파가 있다.
→결론: 민수기의 문맥을 생각한다면 144,000은 이스라엘 군대의 숫자라고 할 수 있고 이스라엘 전체의 숫자라고도 할 수 있다.

(9)나라, 족속, 백성, 방언 : 4는 땅 전체를 의미하므로 ‘땅의 모든 사람들’을 의미한다.

(9)아무라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
┗144000은 셀 수 있는 수인데, 아무라도 능히 셀 수 없다?
┗┗[계5:5,6]에서 예수님을 사자이자 어린양으로 묘사한 것처럼 요한계시록은 모순어법을 사용한다.
┗┗┗(모순어법 xymoron - 상호모순되는 그림을 겹쳐놓으면서 진리를 드러내는 것)
→따라서 144000이라는 셀 수 있는 수는 곧 누구도 셀 수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. (모순어법)

(9)흰 옷
┗[계3:5]이기는 자는 이와 같이 흰 옷을 입을 것이요
┗┗이기는 교회가 입는 것이 흰 옷

[계6:11] 흰 두루마기를 주시며 이르시되... 자기처럼 죽임을 당하여 그 수가 차기까지...
┗자기 : 흰 옷 입은 사람들(순교자들) /
┗그 수 : 144000으로 세면서도 능히 셀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의 수
→이 흰 옷 입은 사람들 = 교회 = 예수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어놓는 사람들
→이 사람들의 숫자가 차기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.

(9)손에 종려 가지
┗[레위기23:40-43 새번역] 종려나무 가지...
┗┗초막절을 기념하는 것 (출애굽 후 광야에서 이스라엘의 장막중에 함께 사셨다는 것을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해서 지키는 절기)
→종려가지는 출애굽을 기억하는 초막절을 의미한다. 하나님과 이스라엘이 함께 동거했음을 보여주는 실제적인 상징.

(9)보좌 앞과 어린 양 앞에 서서
┗[6:16]'누가 능히 서리요?' 질문에 대해 (4-10)절의 사람들이 그 답변이다.

(10)보좌에 앉으신 하나님과 어린 양께 큰 소리로 찬양
┗ [계3:5]그 이름을 내 아버지 앞과 그의 천사들 앞에서 시인하리라
예수님은 이 사람들을 시인하시고, 이 사람들은 예수님을 찬양하는, 서로 불러주는 관계.

(10)찬양 내용 “구원하심이 보좌에 앉으신 우리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있도다
(11,12)모든 천사의 화답 “...찬송, 영광, 지혜, 감사, 존귀, 능력, 힘이 우리 하나님께...’
┗[5:12]에서 천사들의 찬양 7가지 가치와 똑같다.
┗[7:9],[4:9] ‘족속, 방언, 백성, 나라’도 똑같다.
┗[7:9],[4:8]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 양에게 불러드린다는 점도 똑같다.
┗[7:12],[4:13]‘세세토록’도 똑같이 등장한다.

※정리
①144000이 인으로 봉인되자, 흰 옷 입은 사람들+모든 천사가 부르는 것이 새 노래이다.(7:3-12)

(인을 찍는다는 것은 봉인한다는 뜻이다. 자격 있는 사람만 열어볼 수 있고 아무도 열 수 없게끔 봉인하는 것이 인 찍는 것이다. 따라서 사람들이 인 찍혔다는 것은 그 사람들이 봉인되었다는 것이다. 144000이 봉인되자, 흰 옷 입은 사람들과 천사가 부르는 찬양이 곧 새 노래이다. (5장)새 노래는 새롭게 된 사람들에 대한 노래)

②두루마리의 일곱 인이 열릴 때, 네 생물+24장로+천사들+만물이 부르던 노래도 새 노래(5:7-14)
→7장에서는 사람들이 인으로 봉인되자 새 노래를 부르고, 5장에서는 두루마리가 열릴 때 부르던 노래가 새 노래이다. 즉 두루마리는 열릴 때 새노래인데, 사람들은 봉인될때 새노래이다. (모순어법)

(14)큰 환난에서 나오는=어린 양의 출애굽 = 죄로부터의 출애굽 = 구원
┗[1:5] 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시고

(15)성전에서 밤낮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들 = 제사장들
┗[1:6]우리를 나라와 제사장으로 삼으신
┗따라서 (4-10)절의 사람들은 죄로부터 출애굽된 교회를 가리키는 것이다.

(15)그들 위에 장막을 치시리니
┗초막절과 관련 있다. 하나님께서 광야에서 이스라엘과 함께 동거하신다는 의미.

(16-17) ‘장막 침’의 결과, 즉 하나님이 동행하시고 함께 하실 때의 결과
┗예수 그리스도의 위로 때문에 현실을 극복하고 이기고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.

[8:1] 일곱째 인을 떼자 고요함과 침묵이 찾아왔다.


'이 일 후에'는 요한이 보는 환상의 순서이지, 실상의 순서가 아니다
144000명은 셀 수 없이 큰 무리를 의미한다(모순어법)
요한계시록5장과 7장에 나오는 '새 노래'

 

728x90
posted by Eline
: